이장호 (영화 감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장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1969년 《이조 여인 잔혹사》로 데뷔하여, 《별들의 고향》, 《바람 불어 좋은 날》, 《어둠의 자식들》, 《낮은 데로 임하소서》, 《무릎과 무릎 사이》, 《어우동》, 《이장호의 외인구단》 등 다양한 작품을 연출했다. 1980년과 1982년 대종상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서울영상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해 이씨 - 이적 (가수)
이적은 패닉과 카니발 멤버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은 후 솔로 데뷔하여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섬세한 감성으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청해 이씨 - 이지란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건주여진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서울중학교 동문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서울중학교 동문 - 김상철 (1947년)
김상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언론인, 교육자, 사회운동가로서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월간 고시계 발행인, 대학교 겸임교수, 한미우호협회 회장, 탈북난민보호운동본부 총재 등으로 활동했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신성일
강신성일은 1960년 데뷔 후 청춘 멜로 영화로 큰 인기를 얻고 엄앵란과의 결혼과 별거, 국회의원 역임, 뇌물 수수 혐의, 그리고 폐암으로 사망하기까지 한국 영화계와 정치계에 족적을 남긴 배우이자 정치인이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수상자 - 박철수 (영화 감독)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철수는 1978년 데뷔하여 멜로드라마 연출 후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 여성의 욕망과 사회적 억압을 탐구하는 실험적인 작품을 만들었으며 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이장호 (영화 감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장호 |
원어명 | 李長鎬 |
로마자 표기 | I Jang-ho |
출생일 | 1945년 5월 1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성부 |
국적 |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 영화연출가 |
활동 기간 | 1969년 ~ 현재 |
배우자 | 정은영 |
형제자매 | 이영호(아우) |
학력 | |
최종 학력 | 홍익대학교 건축미술학과 중퇴 |
2. 학력 및 경력
3. 작품 활동
이장호 감독은 영화감독, 각본, 제작, 배우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 영화계에 기여했다.
- 감독: 별들의 고향 (1974), 바람 불어 좋은 날 (1980),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1982), 이장호의 외인구단 (1986) 등 다수의 영화를 감독했다.
- 각본: 바람 불어 좋은 날 (1980), 어둠의 자식들 (1981) 등 여러 영화의 각본을 직접 썼다.
- 제작: 이장호의 외인구단 (1986), Y's 체험 (1987) 등을 제작했다.
- 기획: 별나라 삼총사 (1979)를 포함한 여러 작품을 기획했다.
- 출연: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2000), 하쿠나 마타타 - 지라니 이야기 (2010) 등의 영화에 배우로 출연했다.
또한, 1996년 KBS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에 출연[1]하였고, LG전자 와이드비젼 광고에도 출연했다.
3. 1. 감독
연도 | 제목 | 비고 |
---|---|---|
1969년 | 이조 여인 잔혹사 | |
1974년 | 별들의 고향 | 안인숙, 신성일, 윤일봉, 백일섭 출연 |
1974년 | 어제 내린 비 | |
1975년 | 너 또한 별이 될 수 있어 | |
1976년 |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 | |
1976년 | 오늘도 참으세요 | 각본 |
1980년 | 바람 불어 좋은 날 | 각본 |
1981년 | 어둠의 자식들 | 각본 |
1981년 | 낮은 대로 임하소서 | 각본 |
1981년 | 그들은 태양을 쏘았다 | |
1982년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각본 |
1983년 | 바보 선언 | |
1983년 | 일송정 푸른 솔은 | |
1983년 | 푸른 갈매기 | |
1984년 | 과부춤 | 각본 |
1984년 | 무릎과 무릎 사이 | 각본 |
1985년 | 어우동 | |
1986년 | 이장호의 외인구단 | 제작 |
1987년 | Y의 체험 | 제작 |
1987년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
1987년 | 삼토 오토바이 | 각본, 제작 |
1989년 | 미스 코뿔소 미스터 코란도 | |
1992년 | 명자 아끼꼬 쏘냐 | |
1995년 | 천재 선언 | 각본 |
2011년 | 마스터 클래스의 산책 | 공동 감독 |
2013년 | 한국 거장과의 여행 | 각본 |
2014년 | 시선 | |
2014년 | 신의 눈 |
3. 2. 기획
연도 | 작품명 |
---|---|
1979년 | 《별나라 삼총사》 |
1982년 | 《미워 미워 미워》 |
1982년 | 《꼬방동네 사람들》 |
1986년 | 《가까이 더 가까이》 |
1991년 | 《칙칙이의 내일은 챔피언》 |
1991년 | 《핸드백속 이야기》 |
2001년 | 《대한민국 헌법 제1조》 |
2014년 | 《시선》 |
3. 3. 출연
이장호는 영화 감독뿐만 아니라 배우로도 활동했다. 2000년 류승완 감독의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에 출연하였고, 2010년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하쿠나 마타타 - 지라니 이야기》에 출연하였다.3. 3. 1.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74 | 별들의 고향 | 감독 | |
1974 | 어제 내린 비 | 감독 | |
1975 | 너 또한 별이 될 수 있어 | 감독 | |
1976 | 오늘도 참으세요 | 감독, 각본 | |
1980 | 바람 불어 좋은 날 | 감독, 각본 | |
1981 | 어둠의 자식들 1부 - 애정의 노래 | 감독, 각본 | |
1982 | 낮은데로 임하소서 | 감독, 각본 | |
1982 |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 감독, 각본 | |
1983 | 푸른 갈매기 | 감독 | |
1984 | 과부 춤 | 감독, 각본 | |
1984 | 바보 선언 | 감독 | |
1984 | 무릎과 무릎 사이 | 감독, 각본 | |
1985 | 어우동 | 감독 | |
1986 | 이장호의 외인구단 | 감독, 제작 | |
1987 | Y's 체험 | 감독, 제작 | |
1987 | 삼토 오토바이 | 감독, 각본, 제작 | |
1988 | 감동 | 제작 | |
1988 | 이장호의 외인구단 2 | 제작 | |
1989 | 미스 코란도 | 감독 | |
1991 | 핸드백 안의 이야기 | 제작 | |
1992 | 숲속의 방 | 제작 | |
1992 | 명자, 아끼꼬, 쏘냐 | 감독 | |
1995 | 천재 선언 | 감독, 각본 | |
2000 |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 배우 | |
2010 | 하쿠나 마타타 - 지라니 이야기 | 배우 | 다큐멘터리 |
2013 | 한국 거장과의 여행 | 감독, 각본 | |
2014 | 신의 눈 | 감독 |
3. 3. 2. 방송
1996년 6월 21일 KBS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에 출연하였다.[1]3. 4. 광고
LG전자 와이드비젼4.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LEE Jang-ho
http://www.koreanfil[...]
2015-09-29
[2]
웹사이트
Lee Jang-ho, movie director of everlasting youth
http://www.hancinema[...]
2015-09-29
[3]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Filmmaker/Festival Director Lee Jang-ho
http://www.koreanfil[...]
2015-09-29
[4]
웹사이트
A Good Windy Day (1980)
http://www.koreanfil[...]
2015-09-29
[5]
웹사이트
Lee Jang-ho to head new umbrella Film Korea
http://www.screendai[...]
2015-09-29
[6]
웹사이트
Art Cinema as Rebellion. Three Films by Lee Jang-ho
http://hcl.harvard.e[...]
2015-09-29
[7]
웹사이트
God's Eye View: Busan Review
http://www.hollywood[...]
2015-09-29
[8]
웹사이트
Lee Jang-ho Film Examines Missionary Work
https://blogs.wsj.co[...]
2015-09-29
[9]
웹사이트
After 19-year gap, a heavenly homecoming for Lee Jang-ho
http://koreajoongang[...]
2015-09-29
[10]
웹사이트
Review: Lee Jang-ho's Mysterious and Magnificent THE MAN WITH THREE COFFINS
http://www.modernkor[...]
2015-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